기술 면접 준비

네트워크

  1. OSI 7계층
답변보기 ▾
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 계층으로 나눈 것.
네트워크 전송 시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 것이 OSI 7계층, 이 이론을 실제 실무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 TCP/IP 4계층
응용, 표현, 세션, 전송, 네트워크, 데이터링크, 물리 계층의 7단계로 구성. 전송시 이 순서로 전달되고 수신시 그 반대로 패킷 풀어가며 수신.
전송 시 7->1 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헤더를 붙임
수신 시 1->7 게층으로 헤더를 풀어냄.


  1. TCP, UDP
답변보기 ▾
TCP: 신뢰성 높은 프로토콜
UDP: 빠른 프로토콜

TCP
- 네트워크 전송 계층에서 TCP 정보(세그먼트 단위) 붙이는데, 이때 출발지와 목적지 포트 정보, 전송제어, 순서, 검증 정보 등의 정보 붙임(?)
- 신회성 높은 프로토콜
- 연결 지향(TCP 3 way handshaking)
- 데이터 전달 보증
- 순서 보장

3 way handshaking
- 클라이언트에서 syn을 보내고 서버가 이를 받으면 서버 역시 syn과 동시에 ack을 보낸다. 클라이언트는 이에 대해 다시 ack을 보냄으로써 연결 보장
- syn: synchronize, 연결 요청
- ack: 요청 수락

데이터 전달 보증
- TCP가 붙게 되면 데이터 받았을 때 잘 받았다는 정보 반환

순서 보장
- 기본적으로 순서가 다르게 오면 다른 지점부터 다시 보내라고 메시지 보낸다.

UDP
비연결형 프로토콜
전송속도가 빠르다
주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사용
1:1, 1:다, 다:다 통신 가능


  1. IP
답변보기 ▾
인터넷에서 데이터 전달 프로토콜

인터넷 프로토콜 역할
-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 전달
-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
IP 패킷 정보
- 출발지 IP, 목적지 IP 등의 정보를 담은 후 인터넷망에 던진다

인터넷 프로토콜 한계
- 비신뢰성: IP는 프로토콜일 뿐이고 보낸 데이터의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낸 패킷이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는다.
- 비연결성


  1. 로드밸런싱
답변보기 ▾
L4 로드밸런싱
- 전송계층까지만 열어보고 로드밸런싱
- 포트 기반

L7 로드밸런싱
- 전체 계층 다 열어보고 로드밸런싱
- URL 기반
- DDOS 예방